롤 전적검색 오류 버그 언제 고치나요? LCK팀 월즈 짧은 리뷰

최근 리그오브레전드 내에서 전적 오류가 자주 발생합니다.
11.19 패치하고 대략 일주일 이후, 계속 이러한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롤 관전 오류 해결 방법
친구 창에 있는 다른 사람 전적 검색 -> 다시 내정보 -> 대전 기록 -> 본인 계정 전적 확인하게 되면 갱신이 됩니다.
타인 계정 전적을 검색할 때도 이러한 버그가 발생하는데요, 공식적으로 라이엇 클라이언트에서 오류가 발생해 검색 오류가 발생했을 때를 제외하고 해결이 됩니다.


현재 롤 내정보 통계 버그, 타인 전적에만 발생합니다.
롤 인게임이 아닌 롤 대기창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하는 버그 중 하나입니다.
우측 상단 톱니바퀴 클릭 후 클라이언트 / 일반 문제 해결 [전체 복구 시작] 눌러도 해결되지 않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롤이 "인디게임 수준" 이라는 밈에 해당되는 부분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라이엇게임즈 코리아에서 버그를 고치기 전까지는 롤 다른사람 계정 통계 보려면 전적 검색 사이트인 포우, 오피지지 등을 활용해 직접 보는 방법 외에는 없습니다.
번외
리그오브레전드 무한 재접속 버그

롤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정상적인 핑(7ms~140ms 이내의 환경)입니다.
네트워크 업로드와 다운로드가 일정하지 않은 비대칭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클라이언트 오류이기 때문에 클라 전체 초기화 (재설치) 또는 전체 복구 시작, 또는 디스코드 프로그램 충돌 중 하나인 디스코드 활동 설정 -> 게임 오버레이 -> '게임 내에서 오버레이 활성화하기.' 로 인한 오류일 수 있습니다.


미니맵을 클릭했을 때 디스코드 채팅이 오게 되면 인게임 전체화면을 플레이 할 때 롤 인게임 마우스가 아닌 일반 마우스로 바뀌게 되는 일도 발생하는데, 이러한 부분을 방지하려면 디스코드 다른 용무 중 기능을 사용하거나, 알림(PC 알림 활성화)을 꺼야겠죠.
+ 오늘 월즈 짧 리뷰

구 DRX 티원 케리아 쉔 서폿, 구 질주마 최우제X야생마 문현준 어메이징 두오였던 오너의 신짜오, 챌린저 1000점 DRX 무성의 제자 김광희 라스칼 그레이브즈, 더킹이즈백 페이커 트페, 이지훈 아지르 쵸비, 비디디 아지르 등
LPL이 왜 황부리그인지, LEC와 LCS의 수준이 탑클래스 LCK와 LPL과 별 차이가 없다는 점을 크게 느꼈습니다.
1명의 라이즈였던 허수, 고스트 외에 볼만한 점이 꽤 많았습니다.
서포터, 김배인 와디드와 같은 G2 출신 미드 C9 박주 선생님의 라이즈, 그리고 김태상의 봉풀주 말자하를 보고 느낀 점은
페이커더러 제발 말자하좀 했으면 한다고 생각을 엄청 많이 했는데 제가 정말 어리석었습니다.
'E-spo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Worlds] 자르반 글로벌밴 LCK 팀들에 대한 영향력 (0) | 2021.10.22 |
---|---|
티원 광탈을 예상했던 나의 앞으로 월즈 순위 예측, 핵심픽 정리 (1) | 2021.10.17 |
월즈 PCE VS HLE 경기 분석, 계란빵을 먹은 데프트는 아무무와 함께 캐리함 (0) | 2021.10.06 |
플레이인스테이지 쵸비 갱붕이(미드트린) 등장, 충분히 예상이 됐던 픽들대로 나왔습니다. 한화 DFM 전 라운드 리뷰 (0) | 2021.10.06 |
DK 캐니언, T1 오너 EDG 준지아 유럽 챌린저 달성, 나머지는 마스터 200~500포인트 (0) | 2021.10.04 |
월즈 PCE VS HLE 경기 분석, 계란빵을 먹은 데프트는 아무무와 함께 캐리함

픽 요약 : 모건 후픽 아트록스, 아무무 못 막습니다.
미포, 엄준식 두오, 마지막 픽 아트록스 픽. 최근 전반적인 아트록스의 상황이 꽤 좋은 편이라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모건에게 막픽을 준 점은 이득을 보기 위함인데 평소처럼 투자가 전혀 없는 희생 포지션의 모건으로 게임을 굴릴 것인지 모르겠고, 아지르 픽에 대해, 미드 케일만큼 약간 조합에 따라 유연한 픽으로 골라야 하는 미드트린 느낌이 안 나서 다행입니다.
아지르 VS 이렐리아 레넥톤에서 둘 다 라인 플렉스가 가능한데, 아무리 쵸비라고 해도 이렐 상대로 아지르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이렐 계수 0.3이 아닌 0.2버전입니다. (이렐 너프 체감 크게 안 되는 것으로 밝혀졌고, 기본 데미지나 Q 마나 공속 너프가 이뤄지지 않는 한 의미가 없어짐)
엄준식 미스포츈 비스타 데프트 듀오에서 꽤 좋은 한타 시너지를 보여줬기 때문에 (dfm 경기) 데프트도 이즈리얼이 아닌 미포를 선택한 것 같습니다.
자국 최강 PCE vs 4시드 한화 이스포츠, 정글 탈리야 픽도 무난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판 이기면 데프트 = 몰락한 미스포츈 스킨의 주인
인게임, 지기가 더 어려운 조합
쵸비 솔로킬 나오고 나서, 진짜 어이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미드독학이라는 아지르 모스트 유저가 "정복자 아지르 개좋음, 점화 들면 진짜 쌤"이라고 말한 적이 있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차라리 치속이나 유성이 더 낫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사실상 정복자자 켜지면 정복자를 들어서 그런지 맞딜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WEQ평W평앞무빙W평 병사 관리도 깔끔했고요. 그냥 아지르 수준의 차이인 점도 크지만 실력 차이가 납니다.
바텀 다이브에서 이득을 더 볼 수 있었다고 보는데, 비스타의 아무무 논타겟이 아쉬웠습니다.
쵸비가 미드에서 이렐리아 EE를 피한 건지, 이렐리아가 못 맞춘건지 의아합니다.
궁극기도 있었기 때문에 킬이 나오기에는 순간적인 WE 도주 등 생각해야 될 부분도 있었고요.

미포 아무무가 6레벨 이후에 확정 궁극기 딜을 박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5레벨 타이밍에 비스타의 엄준식 사망, 이후 탈리야 궁극기 합류로 정리하는 모습이 확실히 팀 게임은 다르구나 싶었습니다.
정글 탈리야가 재사용 대기시간, 정글 피해량에 대해 버프를 받은 부분이 있긴 하지만, 강타 없이 25초 내로 공격 속도가 비교적 빠른 바람 용 잡는 것 보면 좋긴 좋은 듯
게임 템포가 순간적으로 여유가 생겼을 때 이렐 템빌드를 봤는데 고어드링커(선혈포식자) 올리는 빌드 같아서 흔히 말하는 미드 체급 차이가 나는 게 느껴졌습니다.
미포 엄무무 노궁, 미포가 플래시가 있는 상황임에도 아무무가 뒤에 있고 체력이 빠졌다는 이유로 앞점프 박는 부분에서 PCE의 심리가 읽혔습니다.
정글 개입 전투 부분에서, 비스타와 데프트가 일부로 유도한 부분이 티가 납니다.
탑에서 있었던 일 중 모건이 일부로 교전을 유도했다기보단 피스 레넥톤이 응해준 부분이 큰 실수인 것 같습니다.
이렐 선혈 스테락 빌드업이 아쉽다기보다는, ADC에 힘을 더 실어주려는 목적 같습니다.
미드 아지르 18분 CS 220개는 정말 대단하게 느껴지는데, 나중에 쵸비 프로뷰 사서 봐야겠습니다.
마지막 한타에서 사용하기 위한 초시계를 보유한 미드 원딜 포함 아트록스 미포가 비교적 잘 큰 상태라서 게임이 사실상 변수 없이 굳혀진 상태인데 개인적으로 확 느껴지는 부분이 있다면
케즈만 손대영이 프로게이머 출신이 아니라고, 날먹이라고 비난하는 몇 유동닉 롤갤러들도 많은데 이번 게임으로 게임 굳히거나 운영 부분에서 팀에서 영향력을 막강하게 보여준 것 같네요.

1모건 밴(카밀), 4 쵸비 밴(트린다미어, 르블랑, 요네, 야스오)
저는 데프트를 견제할 줄 알았는데요.
계란빵을 먹은 몰락 미포보다 쵸비가 더 견제할 부분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인게임, 초반에 큰 일은 없었고, 모건의 선레드 동선, 미드 탑 3로밍으로 시작
선레드 봇 게임이 2텔, 잭스의 영향으로 탈리야는 성장부터 전체적인 카운터 스트라이크 당했습니다.
아무무가 사실상 사형선고 2회 장전 쓰레쉬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차이가 나게 될 경우 확정 디나이를 하는 점
1세트에서 보여줬던 뭔가를 유도하는 라인전 플레이를 보여줬던 데프트 비스타의 봇 다이브 전략의 실패가 아쉽습니다.

모건, 너는 모건이 아니고 이제부터 카밀이다.
닷지 빠진 잭스, Q평점화앞무빙Q평W 모건의 매서운 솔로킬 각이 소름 돋습니다.
3인 갱, 경험치 손해 전부 받아내고 솔로킬 낸 모건이 너무 잘합니다.
VS 시왜물 잭스 닷지에서 이득을 봤으니까요. 봇에 텔레포트를 타지 않은 점이 꽤 유리하게 적용됐습니다.
플래시가 전부 있는 상황, 궁 있는 레오나가 전령으로 올라오는 부분도 있었기 때문에 전령 안에서 싸웠어도 애매했을 것 같고, 비스타 점멸W 캐치, 모건의 최대 사거리에서의 갈고리, 쵸비의 사일러스로 안 아프게 맞는 법 정도가 대단해 보입니다.

모건 윌러의 3:2 전투가 꽤 괜찮았고, 부활 이후 전투 중인 데프트와 함께 봇에서 미포 아무무 잡고 이득을 본 점
이후 카밀의 당연한, 안정적인 플레이를 위한 와드 확인 및 설치 부분에서 잘리는 부분, 데프트 카이사 타이탄 미스포춘 1:1 한화의 스펠 브리핑 실패 또는 데프트의 딜 계산 착각으로 인한 사망(스킬 포함 7대 때렸으면 미포 잡기는 했음, 카이사 궁극기도 있었고, 하지만 트페 플래시 있는 상태였고 5인 전부 마이크를 쓰고 있는 프로씬인데 심리적인 부분을 이용한 건지? 잘 모르겠음, 개인적으로 데프트 쓰로잉으로 판단함, 나중에 근거를, 이유를 들어보고 싶음, 안 그래도 아무무 미포 OP 조합인데 롤드컵 단계에서 긴장을 한 것인지? 많이 아쉬움.)
머머따의 팬으로서 아쉽게 느껴졌습니다.
왜냐하면 전체적인 조합 차이가 나기 때문인데요, 미포 아무무, 저게 원딜인지 광역 스킬을 사용하는 AD캐스터 챔피언인지 판단이 안 될 수준의 딜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불용 전투에서 모건이 미포 점멸을 빼고 시작이 됐는데, 신짜오가 탈리야를 정리하지 못한 점 비스타의 솔라리로 인해 탈리야 윌러가 산 점에서 한타의 미세한 갭이 느껴졌습니다.
쵸비가 와드 지울 때 사일러스의 대표적인 잡기술 중 하나인 E 사슬 모션 캔슬 평캔을 쓰는 걸 보니까 정말 숙련도가 높네요. ( E땅평땅E땅평)
미드에서 비스타가 잘 버티고, 생존하게 된 이후부터 게임이 확실히 기울었습니다. 바론까지 이어지게 된 점
윌러를 포함해 비스타, 모건이 쵸비와 비교했을 때 저평가되는 일이 흔했는데, 이번 판은 제외입니다.
브라질 팀 레드칼룽가 상대로 좋은 결과를 얻었으니까요.

월즈 기간 동안 앞으로 한화전에서 박기태 모건의 카밀은 보지 못할 것 같습니다.
박기태, 이제부터 모건이 아닌 소환사의 협곡에서의 이름은 "HLE Camille" 이다.
이후 PCS 2시드 비욘드 게이밍 VS 클라우드 나인전에서 아무무 미포 조합이 나오고, 나올 것으로 기대했던 3초의 에어본을 갖고 있는 미드 요네가 나오고, C9 박주의 존야 초시계 연속 사용 이후 니들리스 구입 장면이 재밌었습니다.

구 T1 GS 크레이지 환경설정 누르는 건 뭔가 소름 돋네요.
제이스 vs 우르곳 소름 매치업. 대회에서 우르곳이 나오다니 싶네요.
마지막 경기는 BYG 독고, 유니콘 미포 차이가 좀 나서 아쉬웠습니다.
이번 UOL 패배로 리빌딩 이루어지게 될 것인지 어떨지 궁금하네요.
LJL 데토네이션, 또는 4승 0패가 될 클라우드 나인 둘 다 따졌을 때
3승1패(미드트린) 한화랑 붙는 상대가 누구일지,
아마 LNG는 확정 1위가 될 것 같고, 한화부터 DFM C9 각각 3위 4위가 될 것 같네요.
월드 챔피언십 초반은 평소처럼 꽤 노잼 분위기인데
플레이-인 스테이지임에도 불구하고 이번 월즈, 굉장히 재밌네요.
한화랑 붙게 되는 팀이 어디인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LEC의 박주가 아닌 LCS의 박주, 총을 다루는 소녀 아리아 둘 중 누가 1위가 될지 모르겠습니다.

C9 GS 픽밴
돌아온 미드 트린다미어 퍽즈
팀 브랜드 차이로 봤을 때 TCL이 아닌 LCS 클라우드 나인이 4승 0패 전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C9 자르반 정글로 생각했는데 탑 자르반이 나왔고, 정글 탈리야가 나왔습니다.
미드 트린이 나오면, 궁극기를 뺏는 사일러스도 불사를 쓸 수 있다는 점이 변수가 될 수도 있겠습니다.
인게임 GS
안일한 인베이드, 사일러스 1레벨 E, 점멸 빠지고 시작함
1레벨 플래시 스노우볼로 인해 퍼블 스노우볼이 구르기 시작했습니다.
초반 퍽즈의 미드 트린은 김찬호 랄로(Ralo는 시즌2 시절 고수였음)가 아니고 트린다미어의 왕 갱붕이 였다.
찹취 탑 자르반이 아닌 콩콩이 탑 자르반 상대로 크레이지 제이스가 CS 차이를 꽤 내고 있다는 점,

GS 신짜오가 점멸이 빠진 부분에 대해 이즈리얼은 물은 이유는 레오나가 기절 CC기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탑에서 자르반 EQ플래시가 깔끔하게 들어간 점, 탈리야의 장거리 난입을 확인하고 그냥 플래시 안 쓰고 죽은 것도 보이네요.
모히또 신짜오 죽고, 사일러스 자르반 궁 뺐어서 크레이지 사일이 서로 킬 먹은 부분으로 스노우볼이 약간 덜어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다시 바텀에서 또 다른 스노우볼이 굴러갔고요.
갈라타사라이가 2용을 챙겼는데 트린다미어를 어떻게 막을 건지 궁금합니다.
불사의 격노가 켜지고 생존 시간을 포함해 5~6초 간 잡기에는 정말 애매한 부분이, 미포 제이스는 자르반 궁을 빠져나올 수 없습니다.
퍽즈 트린다미어가 딜계산을 못한 채로 궁을 쓰지 않아 사일에게 정리되고, 사일이 자르반 궁극기를 썼는데, 역시 자르반 궁과 함께 연계할 수 있는 스킬이 얼라이브 미포 크레이지 제이스 EQ 사일 패트리사이트 사슬 EEWQ말고는 연계할만한 스킬이 없습니다.
실제로 바론 교전에서 발생했네요. 제이스 신짜오 미드사일 조합에서 상대팀 자르반이 있을 때 흔하게 종종 있는 상황입니다.
결과적으로 저그스팅 리콜 캔슬로 게임이 끝났습니다.
사일러스가 박주 선생을 마주하게 돼서 그런 것일까요.
오늘 쵸비에게 구 아지르 고수 중 하나였던 이지훈을 보는 느낌이었고, 챌린저 에비 우르곳이 챌린저 크레이지 제이스를 이겼고, 리신한테 에비 예측플, 14분 50초쯤부터 데프트 미포 솔킬 장면까지(심지어 시야까지 있었음, 비스타와 의사소통이 안 된 것인지 모르겠는데 사라짐, 후퇴 핑 찍었음, 비스타 채팅 스펠 체크하고 있었음 물론 궁극기 포함 전부 다 체크한 것은 아님 )
이제 녹아웃만 남았는데, 한화생명 이스포츠 모건이 아닌 '카밀'이 기대가 되네요.
아마도 한화가 진출한다면, 카밀을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만, (상대팀이 일부로 카밀 밴을 풀고 카운터 픽 유도해서)밴이 풀린다면 꼭 보고 싶네요.
'E-spo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원 광탈을 예상했던 나의 앞으로 월즈 순위 예측, 핵심픽 정리 (1) | 2021.10.17 |
---|---|
롤 전적검색 오류 버그 언제 고치나요? LCK팀 월즈 짧은 리뷰 (0) | 2021.10.13 |
플레이인스테이지 쵸비 갱붕이(미드트린) 등장, 충분히 예상이 됐던 픽들대로 나왔습니다. 한화 DFM 전 라운드 리뷰 (0) | 2021.10.06 |
DK 캐니언, T1 오너 EDG 준지아 유럽 챌린저 달성, 나머지는 마스터 200~500포인트 (0) | 2021.10.04 |
월즈 2021 등장이 확정적인 챔피언 정리 분석 (0) | 2021.10.02 |
플레이인스테이지 쵸비 갱붕이(미드트린) 등장, 충분히 예상이 됐던 픽들대로 나왔습니다. 한화 DFM 전 라운드 리뷰

키아나 정글 쓸 것으로 충분히 예상했고, 쵸비가 미드 갱붕이 트린다미어처럼 미드 트린 쓸 것도 뭔가 솔랭 데이터 상으로 봤을 떄 느낌이 왔습니다.
탑은 의외로 카밀을 안 쓴 점, 라칸이 아닌 카르마를 픽한 점, 이즈리얼이 나온 점은 의외입니다.
현 메타에서 이즈리얼 캐리력은 충분히 좋지만 차라리 신드라같은 비원딜 ADC를 준비하는 점을 생각했는데 그 부분이 아닌 점이 아쉽습니다.
초반부터 스노우볼이 굴러갔고, 아쉬운 상황도 많았습니다.
타잔은 중국인 사이에서 의사소통 문제도 있을 텐데 단순 핑 찍으면서 하는 게임으로 용병포지션임에도 키아나 정글을 통해 엄청 좋은 모습들을 많이 보여준 점이 대단합니다.

잭스가 닷지 키면 잡을 수 있는 챔피언이 마땅히 없는데, 아트록스가 아닌 잭스가 나온 점이 의외입니다.
왜 잭스가 나왔는지 분석이 안 됩니다. 이렐리아 저격용으로 픽을 한 것인지, 아니면 전체적인 카운터가 들어 선 것인지
몰왕검 신파자 스테락 란두인 판금장화까지 완성이 된 빌드에서, 잘 큰 트린다미어의 나보리 평평E 상황보다 상대적으로 차이가 크게 나는데 쵸프트게이밍인지 아니면 G2 출신 미드라이너가 언급했던 팀이 한화라서 진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데프트가 1차 타워에서 그라가스의 돌진에 이즈리얼 반응E를 쓴 것에 대해 데프트 퇴물이니 하면서 의문을 품는 사람들도 있을 텐데, 궁이 있었기 때문에 사용된 거고, 고스트 킨 상태로 트린다미어로 게임했음에도 불구하고 무적의 잭스가 나온 점이 아쉬웠습니다.
LPL이나 의문의 중국인 키아나 장인도 그렇고 키아나 궁극기에 대한 이해도나 챔피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가 굉장히 히 높은 것 같습니다.
미드 트린다미어가 카운터 할 수 있는 것은 메이지 챔피언 뿐이었는지... 이런 상황이 오게 된 부분에 대해서는 직접 미드 트린다미어 장인 유저 중 한명인 갱붕이 님께 여쭤보고 싶네요.

인피니티 한화 경기에서 아쉬웠던 점
저는 LCK에서 모건이 최종적으로 성장이 끝난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아니었습니다.
깔끔하게 라인 그레이브즈 정리하는 다이브 과정에서 롤드컵이라는 큰 대회다보니, 긴장을 했던 것 같습니다. 점멸 실수는 치명적으로 보입니다.
마이크 오더가 갈린 건지 데프트와 쵸비 위치가 플래시, 아지르는 WEQ로 인해 바뀐 점이 약간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아마 팀 내에서의 불화가 발생해서 멘탈이 고장이 난 것 같기도 합니다.
그리고 라인 그레이브즈의 사기성에 대해 느낍니다.

아커만의 엄준식이 사기였던 것 같기도 하고, 많은 영향력을 보여줬던 점이 있었는데 "데프트 차이" 로 인해 진 점은 아쉽습니다.
비스타 또한 영향력이 컸고요.
한국팀이라 응원하고 싶은데, 대회 내에서 프로게이머 모건 레넥톤은 정말 실망스러웠습니다.
너무 인상 깊은 모습이여서 아쉽습니다만 스스로 실수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니까 중요한 내용은 아닙니다.(EX 게임 패배로 이어지는 상황을 만드는 등)
하지만 게임은 이겼으니, 피드백을 통해 보완하면 될 부분인 것 같습니다.
아마도 원인에 대해 분석해야 할 것 같습니다.

유니콘러브 제이스 VS 한국 그마챌 LJL 1위 팀 픽창 분석
DFM 데토네이션 포커스온 미 월즈, 총달소데스요. 에비 따봉 등 많은 밈이 등장함
탈론정글 르블랑 미드, 드디어 날먹이라고 불리는 솔랭 챔피언 조합이 나왔습니다.
탱커 템빌드를 올리는 탈론, 리신이 RQQ를 쓴다고 하더라도 원킬을 내거나 순식간에 잡기 굉장히 까다로운 챔피언이라 스킬 사이클을 돌릴 수 있습니다.
대회 제이스는 솔랭 제이스와 굉장히 다릅니다.
DFM 빌드업은 탈론 르블랑의 시너지, 탱커 포지션도 확실합니다
UOL 빌드업은 제이스 포킹, 리신 라칸의 에어본 카운터 스트라이크가 가능한 조합으로 보입니다.
오리아나는 물론 전반적인 시너지를 더해주고요.
결과적으로는 아쉬웠지만, 픽창에서의 전략적인 부분은 나쁘지 않았습니다.
리신보다 월즈 11.19 메타에서 탈론 정글이 더 유리하기에 DFM이 더 유리하다고 판단하고 있었고, 실제로 초반부터 좋은 모습을 보여줬었습니다.
패배 스노우볼, 2차 타워 파괴 이후 운영의 문제, 탈론의 사기성
제이스가 정복자를 가는 최근, 1차 2차를 먼저 부순 상태에서 무라마나를 패스하고 독사의 송곳니나 요우무를 구입하는 것도 괜찮아 보이는데요. 깡AD 쿨감 시너지 챙기는 부분에 대해 뭔가 애매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탈론 르블랑 미포를 제이스가 천천히 볼 수 있는 상태인데 단독 포킹 문제 때문에 구입한 것 같기도 하네요.
DFM 스틸 보면서 느낀 점은 오늘 롤드컵 이후로 이제 아브실골플다34에서도 탈론이 너프가 되지 않는 이상 앞으로 확정밴을 할 것 같습니다 아니면 카운터 챔피언을 준비하겠죠.
탈론이 잡기 굉장히 애매한 포지션이기도 합니다. (은신 감지를 하자니 애매하고, CC기를 투자하기에도 전체적인 조합을 따졌을 때(1탱커 탈론 포함 3딜러 1유틸 조합)애매하기 때문입니다.
오늘 월즈 리신 왜 이럼?
정글러들이 결국 모든 정글 챔피언들 중 리 신이 제일 사기 챔피언이고, '리'가 초반부터 OP라고 볼 수 있는 챔피언인데
개인적으로 LCK 플옵에서 보여줬던 오너 리신만한 '리' 느낌, 아무도 들지 않았습니다.
3코어 이후 총다소 WR만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피해량이 엄청났고, DFM 스틸 유타폰 탈론 엄청 단단하고, 미포 궁 데미지도 너무 사기적입니다.

복한규의 두뇌를 볼 수 있는 픽, 키아나 사일러스 조합 VS 르블랑 신짜오 조합
DFM의 정글 탈론 캐리를 보고 이젠 확정 밴이 되는 것 같습니다, 미포 아무무의 엄준식 붕대 궁극기 -> 미포 무지성 난사 사용하면 딜이 미친 부분은 충분히 봤을 텐데 미드 밴이 많이 나온 점이 의아합니다.
8초 동안 사실상 무적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는 궁극기를 갖고 있는 알리스타, 퍽즈 사일러스 있을 때는 킨드레드 에코 급으로 최상의 카운터가 되는데 좀 애매합니다.
키아나 정글이 있으면 2턴 이상의 교전을 할 때 굉장히 불안한 상황이 많은데, 단일 속박을 포함한 순간 폭딜, 광역 CC기로 인해 DFM이 많이 힘들 것 같습니다.
퍽주를 말리지 않으면 르블랑이 할 게 없어집니다만 대회 특성상 상황을 풀어나가는 것은 굉장히 흔하기 때문에 인게임에서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LCK 농심 고리 사일러스 VS 미드에서 비슷한 상황이 자주 나왔습니다)
라인의 상성을 봤을 때 요우무를 기반으로 한 감전 수확 빌드가 아닌 정글 정복자 선혈포식자 키아나 빌드를 사용했을 때 이득을 보기 원활한 조합입니다.

솔랭이었다면, 탑 차이 미드 차이 서폿 차이
인게임에서 꼼꼼함 차이가 너무 큽니다. 세명이서 뭔가를 할 떄 시야에 대해 너무 급한 부분이 큽니다.
질 수 밖에 없는 게임으로 평가하게 되는 이유는, 탈론 미스포츈을 가져왔을 때 시너지로 게임을 이긴 것, 다이브에 대한 저항, 라인전에서 실수 스노우볼에 대한 대처가 전부 애매했습니다.
그래서 DFM의 패배 원인으로 보입니다.
클라우드 나인이 이길 수 밖에 없는 이유
1. 작년 베릴이 보여줬던 레오나 활용한 운영
2. 에비의 아쉬운 점으로 탑 망함, 르블랑 성장으로 아리아 캐리 기대했지만 할 게 없음
3. 불용 메자이 14스택에서 22스택이 된 퍽주 사일러스, 이거 못 막습니다.
LEC가 아닌 LCS 퍽즈, 엄청 강하네요.
'E-spo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롤 전적검색 오류 버그 언제 고치나요? LCK팀 월즈 짧은 리뷰 (0) | 2021.10.13 |
---|---|
월즈 PCE VS HLE 경기 분석, 계란빵을 먹은 데프트는 아무무와 함께 캐리함 (0) | 2021.10.06 |
DK 캐니언, T1 오너 EDG 준지아 유럽 챌린저 달성, 나머지는 마스터 200~500포인트 (0) | 2021.10.04 |
월즈 2021 등장이 확정적인 챔피언 정리 분석 (0) | 2021.10.02 |
아이슬란드 도착, 각 선수별 솔랭 티어 정리 페이커 다이아1, 쇼메이커 마스터 달성, 도인비 마스터 승격전 (0) | 2021.09.29 |
DK 캐니언, T1 오너 EDG 준지아 유럽 챌린저 달성, 나머지는 마스터 200~500포인트



10월 5일 솔로 랭크 업데이트 기준으로 오너와 캐니언은 챌린저가 됩니다, 월즈 정글러 중 가장 높은 솔로랭크 점수를 기록한 세 명입니다.
가장 먼저 챌린저를 달성한 선수는 EDG의 JUNJIA, 익스펙토 펙트로눔 닉네임을 사용하는 LPL 정글러가 가장 먼저 챌린저를 달성했습니다.
세 정글러 전부 에코, 탈론, 키아나, 리 신, 니달리 정글을 사용하는데, 확실히 지금 솔랭에서 탈론 정글을 날먹으로 평가하고 있고, 키아나 정글의 경우 QWQ나 숲 원소 획득 후 E무빙Q 바위원소W모션캔슬평타Q 누킹으로 사실상 교전만 일어나게 되면 미드 키아나 모습을 동일하게 보여주는 편이 커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퍼뎀 상향을 받은 자르반, 쿨타임 없는 강타, 약자멸시 정글 피해량 증가 버프를 받은 제드 정글을 포함해서요.
GEN.지 BDD, 솔랭 닉네임 뭔지 알려줘
아직도 비디디의 유럽 솔로랭크 닉네임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비디디 시그니처 챔피언인 아지르, 잘 쓰면 강해서 낭만이 있다고 볼 수 있을 만큼 나약한 챔피언으로 평가하고 있는데
모스트에 과연 아지르가 있을지 궁금하네요.
LCK 미드, 대부분 정보가 거의 없습니다.
페이커 르블랑 사일러스를 기반으로 점수를 올립니다.
한국서버와 다르게 올라운더 포지션이 아닌 미드 정글 포지션으로 솔랭을 하는데, 이번 번잇올다운 장면 중 Eternal (Demon) King of LCK라는 말이 뭔가 속상하네요. 전략적 픽 부분에 대한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디디와 페이커는 솔로랭크를 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제드를 포함해, 페이커가 사용하던 대부분 챔피언들, 모스트 AP 챔피언들이 너프가 되면서 뭘 할지 모르겠습니다.
카사딘 연습중일까요?
쇼메이커는 꾸준하게 솔랭을 돌리지만 MIDKLNG의 모든 챔피언 1판 씩 해서 챌린저 찍었던 모습 답게 그냥 이 챔피언 저 챔피언 다 하는데 원거리 딜러 포지션이 힐이 아닌 탈진을 사용하는 루시안, 이즈리얼의 모습이 눈에 보이네요.
쵸비 미드 고스트 플래시 트린다미어, 요네 아마 월즈에서 승리로 작용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지만 한국서버 솔랭 기준으로 좋은 부분이 있지 대회에서 막상 통할지 모르겠습니다. (미드 트린, 미드 신지드 같은 특이한 메타)
FPX 너구리 솔로랭크 점수가 높은 점도 신기하네요. 역시 허수가 방송 중에 언급했던 하권이형 리플레이 분석 메타는 대단한 것 같습니다.
양대인이 언급한 칸의 메모장 같은 것 처럼요.
대회 제이스, 솔랭 제이스 전부 다르게 보이는데요.
한라봉은 과연 어떤 픽을 준비하고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사실상 결승전이라고 볼 수도 있는 매치업인 펀플러스피닉스 VS 담원게이밍 부분이 가장 궁금하고, 플레이인스테이지에서 그룹스테이지로 누가 올라갈지 그 부분도 궁금합니다.
정리
고스트 베릴, 룰러, 비스타, 모건 등 대부분 선수들의 유럽 솔랭 챔피언폭은 기존하고 별 큰 차이가 없거나 다른 포지션으로 돌리지만 의외인 점은
LNG 탑솔의 텔포 점화 정복자 그웬의 솔랭 사용(텔포 탈진도 사용함), 라칸의 에어본 활용도로 인한 라칸 서포터 월즈 픽 가능성, 미드와 같은 룬을 사용하는 감전 영감 키아나, 양민 학살용으로 평가되고 있던 월식 그브가 아닌 기민한 발놀림 그레이브즈 라인 사용, 대회 아트록스 등장 가능성, 조합에 따라 피들스틱 정글, 수확 탈리야 정글 픽 가능성, 신지드 메타와 함께 질리언 서포터 어메이징 두오를 대회에서 보는 등 왠지 뭔가 크게 기대됩니다.
페이커를 제외하고 몇 선수들 중 이번에 지면 은퇴까진 아니고 시대를 넘지 못하고 전설이 되는 느낌이 들어서 MAKE/BREAK 라는 말이 그런 생각을 하게 만드네요.
'E-spo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즈 PCE VS HLE 경기 분석, 계란빵을 먹은 데프트는 아무무와 함께 캐리함 (0) | 2021.10.06 |
---|---|
플레이인스테이지 쵸비 갱붕이(미드트린) 등장, 충분히 예상이 됐던 픽들대로 나왔습니다. 한화 DFM 전 라운드 리뷰 (0) | 2021.10.06 |
월즈 2021 등장이 확정적인 챔피언 정리 분석 (0) | 2021.10.02 |
아이슬란드 도착, 각 선수별 솔랭 티어 정리 페이커 다이아1, 쇼메이커 마스터 달성, 도인비 마스터 승격전 (0) | 2021.09.29 |
2021 WORLDS 월즈 스테이지별 조 출전 팀 정리 (0) | 2021.09.23 |
월즈 2021 등장이 확정적인 챔피언 정리 분석

1. 아무무 서포터
11.19 패치 버전에서 아무무에 대해 건드린 부분이 전혀 없습니다.
엄준식의 여진 2회 붕대, 레오나 궁 범위보다 긴 확정 광역 스턴이 릴리아 궁극기, 최근 Z 드라이브 패치로 빠른 캠프 처리가 가능한 정글 에코보다 더 확정적으로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2. 요네 미드
최근 보호막 버프가 이루어졌습니다. 성장이 무난했을 때 강제적인 치감템, 상황에 따라 독사의 송곳니, EQ3R 연계의 확정적인 3초 연계 CC기가 있는 DPS 미드
3. 트린다미어 미드
한국 서버 챌린저 유저 갱붕이의 티어 상승, 운영으로 점멸 유체화 치속 공속 + 쌍물방 OR 쌍마방 운영이 어느 정도 정립되었습니다.
4. 루시안 봇
평타가 굉장히 짧고 카운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나 나미와 같은 버퍼 챔피언과 2레벨 이후 칼리스타 동급의 라인전 피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5. 르블랑 미드
1코어 이후부터 솔로킬이 굉장히 자주 발생하고, 팀 게임에서 영향력이 매우 큼
11.19 패치에서 르블랑 관련 변화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확신하고 있습니다.
6. 탈론 정글
정복자 탈론, 암살자는 맞는데 어느 정도 순간적인 탱킹도 됩니다. 트위스티드 페이트 같은 확정 감지형 궁극기가 없다면 생존이 굉장히 용이한 편입니다.
지금 못 막습니다.
카운터가 있기는 하지만, 어쌔신 특성상 잡을 수 있는 챔피언만 잡거나, 팀끼리 조합을 맞추는 상성에서는 오히려 상쇄 시킬 수 가 있다는 점이 큰 변수입니다.
솔랭하고 이해도가 많이 다르지만,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7. 자르반 4세 정글
월즈 클라이언트는 라이브가 아니기 때문에 전장의 군가 10퍼 패시브를 기준으로 사용함. 최상위 프로급 대회에서 T1 오너가 보여줬던 점멸궁 정도는 아니지만 가능성을 보고 있음.
8. 요우무 라인 그레이브즈
화약 역류 마나 소모량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라인전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총든 마이라는 말이 당연하게도, 아이템이 나왔을 때 영향력은 꽤 상당하기 때문입니다.
9. 케일 미드
집공 케일 미드, 솔랭에서 왜 나오는 건지 이해가 안 되지만(케일 모스트긴 하지만 분석이 전혀 안 되는 상태입니다, 대회처럼 템포를 빠르게 굴리는 판에서 케일이 미드를 한다고 해도 성장하거나 무적 궁극기가 있다고 해도 운영을 따라 올 수 있을까요?)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10. 신지드 탑미드
궁극기 치감이 추가되면서 나올 확률이 높아짐.
아프리카 프릭스의 서포터 리핸즈가 솔랭에서 보여준 신지드의 운영을 봐서는 타 챔피언들보다 신지드가 오히려 월즈에서 채택 될 가능성이 더 크다고 판단됩니다.
정글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11. 카사딘 미드
쇼메이커 카사딘 픽, 페이커 카사딘 픽으로 가능성을 보고 있습니다.
나머지 챔피언 픽으로 탑 아트록스, 탑 케넨, 탑 오른, 탑 모데카이저, 탑 카밀 정도 나올 것으로 보이고 정글 제드, 정글 키아나 픽 또한 나올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왜냐면 숙련도가 굉장히 많이 필요하고 모든 프로들이 키아나를 상대하는 방법에 대해 모르는 유저가 월즈에 진출했을 것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요.
제드는 더 좋은 챔피언이 많아보여서 솔랭용으로 보입니다.
약자멸시를 챔피언과 다르게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딱 그 부분 외에는 크게 와닿는 부분이 없습니다.
ZED99(제드99,율천고제드)의 제드 정글을 보다 보면 요우무 -> 독사 빌드를 사용하는데 막상 미드보다 영향력이 크지 않다고 저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미드에서는 전투력 측정용 챔피언으로 평가하고 있는 미드 아지르가 기본적으로 나올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왜냐하면 플레이인스테이지 단판 게임이 대부분, 사일러스 픽이 나올지 애매합니다.
2021 월즈 아크샨, 벡스 금지 규정에 따라 생각할 것도 없고 봇은 카이사, 미스 포츈 정도가 나올지도 모른다고 생각되고, 서포터는 레오나랑 단단함이 거의 유사한데, CC기 지속 시간은 레오나보다 더 길고 강한 챔피언인 아무무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한국 서버를 전혀 플레이하시지 않으시는 도파 선생님꼐서 2020 월즈 챔피언픽 이해도를 기반으로 픽을 예측하신 부분이 적중했기 때문에, 시즌11 롤드컵 또한 롤도사님이 분석하시게 되면 시즌11 세기말, 시즌12 프리시즌 솔랭에서 적용하기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E-spo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레이인스테이지 쵸비 갱붕이(미드트린) 등장, 충분히 예상이 됐던 픽들대로 나왔습니다. 한화 DFM 전 라운드 리뷰 (0) | 2021.10.06 |
---|---|
DK 캐니언, T1 오너 EDG 준지아 유럽 챌린저 달성, 나머지는 마스터 200~500포인트 (0) | 2021.10.04 |
아이슬란드 도착, 각 선수별 솔랭 티어 정리 페이커 다이아1, 쇼메이커 마스터 달성, 도인비 마스터 승격전 (0) | 2021.09.29 |
2021 WORLDS 월즈 스테이지별 조 출전 팀 정리 (0) | 2021.09.23 |
진짜 에바인데 DRX 씨맥 경질임 계약해지 아니면 LPL행 결정한거임 (2) | 2021.09.18 |
아이슬란드 도착, 각 선수별 솔랭 티어 정리 페이커 다이아1, 쇼메이커 마스터 달성, 도인비 마스터 승격전



EUNE서버가 아닌 EUW서버에서 현지 솔랭이 시작됐습니다.
한국 서버 대비 핑이 10밀리세컨드에서 30MS정도 증가되는 편이라 특정 챔피언들을 못할 것으로 보이는데 ( 이렐리아, 제이스, 카밀, 제드, 제이스, 솔로 라인 루시안 ) 그러지 않고 다 쓰고 있네요.
게임 내에서 KIMCHI 하면 시즌2부터 거슬러가서 KING OF KIMCHI 핫샷지지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 바이퍼가 Kimchi 닉네임을 달고 하니까 개인적으로 국뽕이 차오르네요.
물론 한국인을 김치맨이라고 1비하하는 것이 아니라면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LCK 미드 중 가장 먼저 마스터를 달성한 미드 쇼메이커
미드 트린다미어를 통해 9승1패를 달성했고(갱붕이 미드 트린다미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최근 버프가 이루어진 요네, 자신의 시그니처인 트위스티드 페이트, 결승전에서 보여준 1명의 허수를 통해 점수를 올렸습니다.
(WINCG)페이커는 르블랑, 조이, 탈론을 통해 스스로 게임을 캐리하는 방식으로 점수를 올렸습니다. 단독 캐리가 눈에 뜁니다.
스카웃은 올라운드 포지션으로 점수를 올렸습니다. 난입 AP코그모, 르블랑, 요네 픽이 보이는데요 판테온 VS 카사딘 상대에서 정복자 선혈 스테락 빌드로 이긴 부분이 보입니다.
현지 핑 적응 실패로 인한 드레이븐의 패배가 눈에 뜁니다, 아니면 그 판 자채를 못한 부분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됨.
아마 롤드컵이 시작되면 미드 요네, 미드 트린다미어를 기점으로 새로운 메타를 보여줄 것 같습니다.


EDG와 미드 스카웃 갈리오 VS FPX 도인비 미드 탈론에서 도인비가 이겼습니다.
한화생명 소속 미드 쵸비는 배치고사 8승 1패 상태입니다.
나머지 미드 김태상 도인비는 다이아1티어 100포인트 마스터 승격전 1포인트 상태, 다른 미드 프로게이머들과 다르게 정글 모스트를 통해 솔로랭크 점수를 올린 점이 소름입니다. 도인비 하면 커맨더지코 선생님과 듀오를 통해 팀게임 캐리 포지션 게이밍을 어떻게 하는지 보여준 경력이 있다보니 꽤 친한 친구 같은 느낌인데요.
아이슬란드에서 도유 방송 연동하고 하는 게 가능했다면 도인비가 솔랭하면서 어떤 모습을 보여줬을지 기대됩니다.
개인적으로 궁금한 점은 현지 배치고사 솔로큐에서도 서머너스펠 체크를 했을지, 듀오를 통해 점수를 올렸을지가 궁금합니다.
한국에서 저명하게 알려진 DFM 데토네이션포커스온미 미드 아리아는 현지 닉네임 파악이 안된 상태,
지투 이스포츠 LEC에서 팀 복한규 클라우드 나인 LCS로 이적한 퍽찬호 퍽즈(한국서버 닉네임 김치워리어)는 이미 솔랭 100판 돌리고 마스터를 달성했습니다.


FPX 너구리, 벌써 솔랭 마스터, 근데 왜 쓰는 챔피언이 그웬?
너구리의 챔피언이 이상합니다.
점화텔포 정복자 균열 생성기를 사용중입니다.
아트록스, 그웬, 제이스 그라가스를 통해 점수를 올렸고, 케넨은 핑 문제인지 2패 상태입니다.
월즈에서 메인 픽이 될 것인지, 작년 월즈처럼 오른을 이용한 히든 픽을 준비할 것인지 궁금하네요.
솔직히 그웬에 대해 카이팅이 좋은 편이라고 생각은 되는데 성능은 너프 이후로 좋은 챔피언이라고 느껴지지는 않습니다.
LCK 서머 대회 기준 팀파이트에서 생존, 캐리 둘 다 괜찮은 모습을 보여줬던 모건과 윌러의 솔랭 성적이 기대되는데요. 아직 파악되지 않았습니다.
아마 같은 팀 프로게이머들이 마스터를 달성한 이후 솔랭을 돌리게 된다면 듀오를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데요.
모건은 솔랭으로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을까요?




김건부 캐니언 마스터 전승무패 니달리, 오너 다이아1, LNG 타잔 마스터
김건부 니달리 10승 0패, LNG 타잔 리신 11승 1패 오너 에코 9승 2패
캐니언, 이번 암살자 챔피언들의 정글 몬스터 피해량 버프로 인해 키아나 정글을 사용하는 모습이 확인됩니다.
LNG 타잔의 솔랭 리신 전적보다 정글 탈리야 정글 제드, 정글 그레이브즈의 픽 가능성도 느껴집니다. 캐니언과 같은 팀으로 매칭이 됐을 때 탑 케넨, 탑 제이스 픽으로 유럽 현지인 학살한 부분도 보이네요 ( 아마 캐니언X허수 소문난 기사 두오를 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길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미드에 쇼메이커가 있긴함 )
EDG 바이퍼 13슬 3패 다이아1 61포인트, 김혁규 데프트는 아이슬란드 슈퍼계정(icelandwalrus) 기준 배치고사 3승 2패 상태입니다.
DK 고스트 루시안 1승 2패, 진 0승 2패, 직스 0패. 정말 핑 체감이 크게 느껴집니다. 정글 리신을 통해 점수를 올리는 부분이 인상 깊네요.
'E-spo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DK 캐니언, T1 오너 EDG 준지아 유럽 챌린저 달성, 나머지는 마스터 200~500포인트 (0) | 2021.10.04 |
---|---|
월즈 2021 등장이 확정적인 챔피언 정리 분석 (0) | 2021.10.02 |
2021 WORLDS 월즈 스테이지별 조 출전 팀 정리 (0) | 2021.09.23 |
진짜 에바인데 DRX 씨맥 경질임 계약해지 아니면 LPL행 결정한거임 (2) | 2021.09.18 |
2021 worlds 롤드컵 7인 로스터 확정, 타 리그 한국인 선수 감코진 정리 (1) | 2021.09.14 |
2021 WORLDS 월즈 스테이지별 조 출전 팀 정리

추첨식은 MSI로 추가 시드권을 얻은 한국, 샥스 선생님과 안코스가 진행했습니다.
2021년 10월 5월부터 9일까지 플레이-인 스테이지
11일부터 13일, 15일부터 18일까지 그룹 스테이지가 진행됩니다.
3일 후인 22일부터 22일부터 25일까지 쿼터 파이널이 진행되고 4일 이후인 10월 30일 세미파이널, 5일 후 11월 6일에 총 상금 2,225,000달러의 2021 worlds 우승컵을 들어 올릴 팀은 누구인지 정하게 되는 결승전이 진행됩니다.
시즌10, 시즌9 월드챔피언십 상금과 동일합니다.
처음 시작되는 플레이-인-그룹 스테이지는 풀리그 형태로 1선승제 게임입니다.
총 4위 내에 들게 되면 월즈에서 최종 탈락하지 않고 진출의 기회가 주어집니다.
1위는 추가 경기 없이 그룹스테이지 진출하게 되고 4위 내에 들어선 팀은 5판 3선승제를 통해 이긴 팀이 추가적으로 플레이-인 스테이지 내의 녹아웃 스테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LEC 스튜디오에서 G2 정글 JANKOS 안코스 추첨을 통해 조를 정하게 됩니다.
각 출전 팀 수는 CBLOL LJL LCO LCL TCL LLA 각각 1팀, PCS 2팀
LEC LCS 3팀, 매드라이온즈, 프나틱, 로그 래퍼드가 수장으로 있는 100시브즈, 팀리퀴드, 클라우드 나인 LPL LCK 4개의 팀이 출전합니다.

A조는 4번 시드 HLE 한화생명 라이프 이스포츠. LPL 4번 시드 LNG 이스포츠 라틴아메리카 지역리그 LLA의 1번 시드 INF 인피니티 이스포츠 오세아니아 지역리그 LCO 1번 시드 PCE 브라질 리그 CBLOL 1번 시드 RED
모건 쵸비 데프트가 기대됩니다. 타잔이 있는 팀, LNG에서 타잔이 보여준 게이밍은 좋았습니다.
한국인 용병이 있긴 하지만 탈락이 예상됩니다.
최근 모건의 재평가에 대한 내용들이 많았는데, 타 리그와의 대전에서도 캐리력을 보여줄 수 있을지
쵸비데프트 어메이징 듀오에서 알려질 사람들에게는 이미 알려진 리신 초고수 모건, 타잔이 보이네요.
B 조는 PCS 2번 지역 BYG 비욘드 게이밍, LCS 3번 C9 클라우드 나인 LCL 1위 UOL 유니콘즈오브러브 터키리그 TLC 1번 시드 GS GALATASARAY ESPORTS 일본 리그 LJL 1번 시드 DFM 데토네이션 포커스온 미

한국서버 현챌 사일러스 모스트의 아리아, 현챌린저 정글러 스틸
한국서버 현챌이라는 데이터를 근거와 함께 승부 예측을 하면
DFM 또는 C9가 좋은 전력을 보여줄 것 같습니다.
예상 진출 팀 순위 HLE C9 LNG DFM
ADC의 단독 캐리력에 홀딩 포지션 + 한타 캐리 포지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는 쵸프트와 모건, 복한규의 전략 빌드업으로 이해도를 높힌 C9의 한타를 무시할 수 없는 점으로 2위
LPL 개인화면을 봤을 때 서로 핑으로만 게임하는 일이 있는데, 타잔의 의사소통 부재로 인한 3위 예상, DFM은 현챌이 두 명 외에 공개적인 데이터가 없기 떄문에 4위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룹 스테이지
MAKE/BREAK 시대를 이미 진 플레이어가 돌파할 수 있을지, 아니면 멈추게 되는지에 대한 대결입니다.
그룹 A
LCK 1시드 DK 담원 기아 LPL 2번 시드 FPX 펀플러스 피닉스 LEC 3번 로그 RGE
극한의 생존과 운영, 미드킹, 탑킹, 가챠겜 킹이 있는 담원 기아. 서브 말랑 김근성, 너구리 도인비 티안 린웨이샹 기대됩니다.
사실상 FPX DK 둘 중 한 팀이 떨어지게 되는 부분이 있다 보니, 돌파하거나 무너지거나의 결승전이라고 봐도 무난할 것 같습니다.
담원의 시대가 왔습니다. 라는 말이
그룹 B
LPL 1번 시드 EDG 에드워드 게이밍 LCS 1번 시드 100 원 헌드레드 시브즈 LCK 3번 시드 티원 T1
11.19에서 AP계수가 0.45에서 0.4로 이상혁이 너프되면서 타 챔피언을 쓸 것인지 아니면 카사딘이 나올 것인지 기대됩니다.
구마유시의 시그니처인 직스도 너프가 된 상태고, 야생마 문현준 오너의 시그니처 비에고 또한 너프가 된 상태입니다.
최근 커즈는 정글 탈론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줬는데, 서브 커즈가 등장하거나, 테디가 등장할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김대호의 유산 역천괴의 플레이는 굉장히 안정적인 편이고요.(솔랭 기준)
바이퍼3 누가 막음?
그룹 C
PCS 1번 시드 PSG LEC 2번 시드 FNC LPL 3번 시드 RNG
프나틱이냐 PSG 탈론이냐, ㄸ는 플레이 인 스테이지에서 올라오는 단순히 역전하고 패고 올라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룹 D
LEC 1시드 매드라이온즈 MAD LCK 2번 시드 젠지 GEN LCS 2시드 팀리퀴드 TL
LEC 내에서 아르무트(Armut)가 총챔 할 때 개인화면 0.75배속으로 보면 배울 점이 많은 뇌지컬의 정석 같아서 많이 재밌습니다.
김혁규와 광저우의 손님 쵸비, 어디까지 올라갈 수 있을까요?
플레이 인 스테이지 기간 내에서는 한화의 폭주가 시작될 것으로 보이고, 시즌11 시즌 종료가 곧 다가온다는 것도 함께 느낍니다.
꼭 진출했으면 좋겠습니다. GG
'E-spo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즈 2021 등장이 확정적인 챔피언 정리 분석 (0) | 2021.10.02 |
---|---|
아이슬란드 도착, 각 선수별 솔랭 티어 정리 페이커 다이아1, 쇼메이커 마스터 달성, 도인비 마스터 승격전 (0) | 2021.09.29 |
진짜 에바인데 DRX 씨맥 경질임 계약해지 아니면 LPL행 결정한거임 (2) | 2021.09.18 |
2021 worlds 롤드컵 7인 로스터 확정, 타 리그 한국인 선수 감코진 정리 (1) | 2021.09.14 |
롤드컵 개최지 마드리드 아니고 아이슬란드 실화임? 속았다. (0) | 2021.09.10 |
진짜 에바인데 DRX 씨맥 경질임 계약해지 아니면 LPL행 결정한거임

최근 며칠 전 씨맥이 트위치에서 방송을 킨 적이 있었습니다.
진짜 뭔가 주늑든 모습에 지친 목소리가 들렸었는데요.
하지만 시청자들이 원하는 답변 전부를 해줬습니다.
다이아4 칼챔에 대한 얘기, 쵸비 탑, 비밀 솔랭 계정, 웨이트 하면서 지내는지 등
씨맥이 DRX의 수장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아마 타 리그 LPL로 기게 되겠죠.
최근 킹겐의 닉네임 변화가 DRX1234, 킹겐과 유사 닉네임 BMX1234도 있습니다 계약종료 등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요. 이것 또한 암시였던 부분인지 궁금하네요.
최근 김대호 감독이 트위치에서 다섯 시간 넘기 방송도 하고 픽창이 아닌 인게임 로비 등 대기창에서 트수 팬들과 많은 대화, 악질 억까와의 해소 소통, 등 진짜 명장이구나 하는 모습들 많이 봤는데 진짜 현타가 많이 옵니다
DRX 홍창현, 혼자 남았구나
이제 월즈 출신 홍창현 혼자 DRX를 지키게 되었습니다.
아마 전체적인 리빌딩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구 킹존 드래곤엑스 롱주의 심장이라고 불리던 프로즌 영입 등 많은 모습을 보여줬고, 킹겐-표식 탑정글 게이밍이 될 것인지 아니면 표식도 LPL로 가게 될 것인지 궁금합니다.
왜 LEC나 LCS가 아닌 LPL임?
킹겐은 솔랭 챌 1위 출신입니다.
표식은 월즈 경험이 있으며 ADC 포지션 원딜을 운영할 수 있는 것 뿐만 아니라 메타에 맞는 챔피언 폭이 넓은 편입니다.
이러한 부분을 감안했을 때 FA시장에 들어가게 된다면 브로커 또는 에이전시를 통한 이동이 가능하겠죠.
김대호 씨맥 또한 마찬가지라고 보고 있는데요.
한동안 광저우에 가서 휴가를 보내시고 식히시고 MSI 또는 스프링 시즌에 다가오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공개된 방송에서 씨맥의 오더, 팀게임 의사소통 방식에 대해서는 틀린 점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기에 아마 막강한 전력이 될 것으로 보이고, 현 손석희 따거가 있는 SKT T1 CvMax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만약 한국 LCK에 잔류한다면 감독 코치 자격으로 티원으로 가지 않을까 싶습니다.(개인적인 느낌입니다. 씨맥의 팀 파이트 이해도와 정글 매커니즘 이해도는 엄청나기 때문에 시너지가 될 것 같습니다)
내용 요약
DRX 씨맥 경질 or 스스로 FA 계약해지 또는 상호 합의 종료
1. 씨맥 계약해지 됨 (저의 뇌피셜으로는 LPL 또는 LCK 최상위 팀으로 진입하거나 군입대 할 것으로 예상)
2. 김대호 감독이 방송 중에 뭔가 주늑든 목소리로 힘이 없어보이시긴 했는데 뭔가 이상했음
3. DRX 리빌딩 중? 잘은 모르겠지만 차기 시즌을 위한 도약을 준비하는 것 같음
씨맥이 DRX의 실세이자 최고의 장비라고 생각했는데 아마 서머 성적으로 인해 이렇게 된 건가 싶음(뇌피셜)
페이스북에서 씨드백의 내용들로 봤을 때 최선을 다한 것 같다고는 개인적으로 판단하고 있음.
앞으로 김대호 소라카 천리안맥스의 좋은 활약이 있길, DRX 팀이 발전하는 모습이 있길, DRX 표식에게 괜찮은 방향이 있길 바랍니다.
+씨맥 군필임(수정), 이상호가 방송 공지에서 씨맥을 언급한 것으로 봐서 아마 아프리카 방송에 출현할 듯 싶습니다.
오랜 기간 아프리카TV에서 방송한 시간이 있는 김대호, 아프리카 프릭스로 진입 또한 괜찮아 보입니다.
티원을 제외한 케이티, 한화 젠지도
또한 KT 히라이와 함께 감코진에 있게 되거나, 케즈만 손대영과 함꼐 하거나, 씨맥X페이커 시너지를 기대하면서 T1 헤드코치 자격으로 영입되거나 cvMAX 전력분석관 포지션으로 가게 될 수도 있는 가능성에 대해 생각하고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LPL에서는 많은 콜이 올 것으로 보이고, 새로운 DRX의 리그오브레전드 부분 감독 또는 총감독으로는 쏭이 위치하게 될 것으로 개인적인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또는 엑스페션이 1군 감독이 될 수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DRX dongHo 어디감?
동호는 씨맥과 함께 하게 될 것인지, 아니면 LJL 등 일본 리그나 LCK에 있게 될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혹은 LCK의 하위 리그에서 성장할지도 모르죠.
인턴부터 정식 팀DRX에서 활약하게 된 박동호 코치가 FA시장에서 어디로 갈지 기대가 됩니다.
1부리그의 커리어는 충분하니까요.
'E-spo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슬란드 도착, 각 선수별 솔랭 티어 정리 페이커 다이아1, 쇼메이커 마스터 달성, 도인비 마스터 승격전 (0) | 2021.09.29 |
---|---|
2021 WORLDS 월즈 스테이지별 조 출전 팀 정리 (0) | 2021.09.23 |
2021 worlds 롤드컵 7인 로스터 확정, 타 리그 한국인 선수 감코진 정리 (1) | 2021.09.14 |
롤드컵 개최지 마드리드 아니고 아이슬란드 실화임? 속았다. (0) | 2021.09.10 |
페이커 챌린저 재탈환, 쵸비 데프트 압승, 한화 티원 누가 이김?, LPL 결승 도구리 (2) | 2021.09.02 |